카테고리 없음

헌법논증이론 1. (1) ‘규범과 사실의 격위 차이에 관한 설명과 (2) 해외 입법례가 국내 수범자들의 관점에서 규범과 사실 중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논의 2. (1) ‘자연주의의 오류가 무..

모사제로 2022. 2. 28. 16:28

비판적 검토 대상 견해:

외국에 p라는 내용의 법률 L이 있다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에서 p라는 내용의 법률 L을 입법하는 것은 합헌이다라는 헌법규범명제를 찬성하는 총체적이고 독자적인 논거가 된다.

 

이때 아래 과제 작성시 지시사항의 예시목차에서 쟁점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시오.

1. (1) ‘규범과 사실의 격위 차이에 관한 설명(2) 해외 입법례가 국내 수범자들의 관점에서 규범과 사실 중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논의

2. (1) ‘자연주의의 오류가 무엇인지’, 그리고 (2) ‘해외 입법례의 사실에서 국내 합헌성에 관한 쟁점을 그대로 도출하는 것이 자연주의의 오류에 해당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3) 그렇게 하면서도 자연주의의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려면 전제될 수밖에 없는 규범은 무엇이며 왜 부당한지에 관한 논의

를 포함하여 쓰시오.

[위 문제는 교재 1(16-17), 7(148-149), 8(192-197, 200-203)에 주로 관련된 것이므로, 미리 해당 부분 강의와 교재를 학습한 다음 풀기를 바람]

 

예시목차

 

I. 서론

~~

II. 본론

규범과 사실의 격위 차이와 해외 입법례

(1) 규범과 사실의 격위 차이

규범이란 ~~ 이다. 사실이란 ~~ 이다. 규범과 사실은 진리조건이 ~~하다. 왜냐하면 ~~

(2) 해외 입법례의 격위

해외에서 p라는 내용의 법률 L가 입법되었다는 것은 국내 수범자의 관점에서 규범이 아니라 사실이다. 왜냐하면 ~~

 

2. 자연주의의 오류와 해외 입법례를 총체적이고 독자적인 논거로 사용하는 일의 문제점

(1) 자연주의 오류의 정의

자연주의 오류란 ~~ 이다. 이것이 오류인 이유는 사실과 규범의 진리조건이 ~~ 하기 때문이다.

(2) 해외 입법례를 독자적이고 총체적 논거로 사용하는 추론이 자연주의의 오류를 범하는 이유

해외 입법례는 국내 수범자의 관점에서 사실 이다. 그리고 문제된 국내 법률이 위헌이거나 합헌이라는 것은 헌법규범명제로서 규범이다. 따라서 ~~에서 ~~를 도출하는 것은 ~~이다. 왜냐하면 ~~~ 이다.

(3) 자연주의의 오류를 범하지 않으려면 전제되어야 하는 규범과 그 부당성

해외 입법례를 총체적이고 독자적인 논거로 사용하면서도 자연주의의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려면 전제가 되는 규범이 있어야 한다. 그 규범이란, 같은 유형의 위헌적 공권력 행사가 여러 나라에서 더 많아질수록 어느 순간 ~~~ 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규범은 부당하다. 왜냐하면 ~~

또한 그런 규범을 도입하는 것은 세계적 차원에서 나가사키 효과에 극히 취약하게 된다. 각국이 다른 나라에서 대상 법률과 비슷한 내용의 법률이 이미 있다는 것을 합헌의 근거로 삼는다고 해보자. 그러면 한 나라가 ~~ 한 법률을 도입하게 되면, 그 자체가 다른 나라에서 합헌의 논거가 되어 ~~ 하게 되고 또 다른 나라가~~ 때문이다. 이로 인해 ~~

 

III.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