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박물관기행 많은 작품을 한데 모아 장식적인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사각형의 방을 가리키는 말로, 진귀한 물건과 자연사 유물, 조각상 등과 같이 작은 예술품을 보관하는 장소를 ( )라고 ..
1. 멀티미디어 강의와 교재의 1강 – 5강을 참고하여, 괄호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총 10문항, 문항당 2점, 총 20점)
(1) 많은 작품을 한데 모아 장식적인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사각형의 방을 가리키는 말로, 진귀한 물건과 자연사 유물, 조각상 등과 같이 작은 예술품을 보관하는 장소를 ( )라고 한다.
(2) 유럽에서 왕실과 귀족의 사적인 콜렉션이 일반 대중들에게 공개되기 시작한 것은 ( )세기부터이다.
(3)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프랑스로 초청하고 <모나리자>를 비롯한 왕실 콜렉션을 정비하는 등 적극적으로 문화예술을 장려했으며, 루브르궁을 르네상스풍으로 개조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던 프랑스의 왕은 ( )이다.
(4) 정통 모더니스트 건축가인 ( )는 1980년대 초 미테랑 대통령의 그랑 루브르 문예부흥 정책의 일환이었던 루브르 박물관 리노베이션 책임자로서 파격적인 유리 피라미드를 선보였다.
(5) 세계 박물관 혹은 보편적 박물관으로 한국에서 번역되고 있는 ( )은 지리적, 시대적 경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전시를 추구하는 박물관의 개념으로, 루브르 아부다비가 지향하고 있는 미래의 뮤지엄 상을 일컫는다.
(6) ( )는 콘텐츠와 향유자 사이의 관계맺음을 구체화해 향유자로 하여금 작품에 대한 고유한 의미를 만들어 내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문화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 문제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작품과 관람객이 만나는 방식에 중점을 두고 있는 활동을 의미하며, 1980년대 프랑스 문화 현장에서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7) 나폴레옹 3세와 함께 파리 근대화 프로젝트를 주도한 인물로, 대로 중심의 도로망을 확충하고 도시 하수도 시설을 정비하였으며 녹지를 조성하는 등 중세의 모습이 남아있던 파리를 근대적인 수도로 탈바꿈시킨 것은 ( )이다.
(8) 오르세 역은 1900년에 치러진 ( )를 위해 도심에 건설되었다. 이것은 1851년 런던에서 시작된 국제적인 행사로, 산업화, 근대화를 이룩한 서구열강들의 기술적, 산업적 발전상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9) ( )는 연출된 극적인 회화의 종식을 선언하며, 전통적이고 이상주의적인 미학 대신 실제 사회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담아낸 화가로서, 1867년 사실주의 전시회를 통해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예술의 방향을 드러냈다.
(10) 주관적인 해석과 표현을 중시한 후기 인상파 화가 중의 하나로, 인상주의적 실험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기하학적인 요소들로 풍경을 분해하며 해체와 재조합이라고 하는 현대적인 미학을 추구한 화가는 ( )이다. 인식한 풍경을 기하학적인 방식으로 분해하여 화폭에 담았는데, 이러한 방식은 20세기 초반 피카소와 같은 입체주의자들의 실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2. 다음의 루브르 박물관은 랑스 분관, 아부다비 분관 개관을 통해 실질적인 경영상의 실익을 거두는 동시에 문화 민주화, 예술의 보편화라고 하는 가치를 실현함을 표방하고 있다. 다음 칼럼을 읽고, 루브르 아부다비 분관에 대한 (1) 찬반논란의 쟁점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2) 자신의 의견을 쓰시오. (10점)
칼럼 링크 : https://www.artfactproject.com/post/2019/10/28/박물관의-브랜드화-루브르-아부다비의-건립과-이를-둘러싼-논쟁점
(김진아, <박물관의 브랜드화 : 루브르 아부다비의 건립과 이를 둘러싼 논쟁점>, Artfact, 2019년 10월 28일)